1. 검도의 목적


검도는 죽도로 서로 쳐, '이겼다 졌다'고 하는 기술을 다투는 경기가 아니고, 건강한 마음을 길러 건전한 신체를 만들어, 올바른 예의를 거두기 위해서 연습을 하는데 있다.
따라서 검도는,

 1) 마음을 다스리고
 2) 신체를 가다듬어 단련하고
 3) 기술을 습득한다

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것은 분쟁을 목적으로 한 폭력이 아니고, 건전한 사회인이 되기 위한무도이므로, 이
목적을 잊어서는 안된다.


2. 검도와 예의


예의는 인간으로서 평화로운 사회 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하지만, 검도에서는 옛부터 「예에 시작해 예
로 끝난다」라고 말하고 있듯이 극히 중요한 것이 되어 왔다. 어떻게 기술이 능숙하게 되어도, 품위나 인품이
빠져 있는 경우 진정한 검도를 배웠다고는 하지 않는다.
검도는 많은 운동 중에서도 가장 격렬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의 하나이므로 조금 지나치면 난폭한 행동이 되
기 쉽다.
이것을 미리 막아, 올바른 검도를 습득하기 위해서도 예의나 작법이 까다롭게 말해지고 있다.
도장 뿐만이 아니고, 집에서도, 학교에서도 어떠한 일이 있어도 항상 진심으로 예의 바르게 해 훌륭한 인격과
정신을 기르도록 유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3. 예법

검도의 예에는 입례와 좌례가 있다. 연습이나 시합을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입례를 하고 도장 내의 연습이
시작될 때와 끝내기에는 좌례가 행해진다.


1. 정좌의 방법

 (1) 눈은 전방을 정시 한다
 (2) 왼발을 조금 뒤에 당겨 조용하게 무릎을 꿇고 다음에 오른 무릎을 붙인다.
 (3) 양 엄지발가락을 겹친다.
 (4) 양 무릎의 사이를 조금 열어, (약 20센치) 조용하게 앉는다.
 (5) 턱을 당겨, 등뼈을 꼿꼿하게 펴, 머리를 바로 유지한다
 (6) 어깨의 힘을 빼고, 입을 다물며, 복식 호흡을 하면서 전방을 정시 한다.
 (7) 양손은 다섯 손가락을 갖추어, 안쪽으로 향해 허벅지 위에 둔다.

2. 서는 방법

허리를 펴고 양발 끝을 세워 오른쪽 다리를 조금앞에 내디뎌 조용하게 서서, 왼발을 오른쪽 다리에 끌어당긴다.

3. 좌례의 방법

정좌 자세로 상대를 주시해, 상체를 조용하게, 천천히 전방으로 기울이는 것과 동시에 양손을 무릎 앞으로 내면서, 손가락 끝을 펴, 여덟 팔 자형으로 만들고 조용하게 고개를 숙여 잠깐 그 자세를 유지했다가, 천천히 원래의 정좌의 자세로 돌아온다.


4. 중단


중단의 자세는, 공격에도, 방어에도 적합한 기본의 자세이다.

 (1) 요령

꼿꼿하게 선 자세로부터 오른쪽 다리를 약간 전에 내, 왼손은 죽도 끝을 쥐고, 오른 손은 날밑으로부터 조금 내
려 잡는다. 죽도의 현(등줄)을 위로 해, 칼끝의 연장선을 상대의 인후의 높이(또는 왼쪽 눈)로 잡는다.

 (2) 어디를 보는가?

상대의 눈을 보되 신체의 전체가 보도록 한다.

 (3) 죽도를 잡는 방법

왼손은 세끼 손가락을 칼자루의 끝부분 가득 걸쳐 위로부터 잡아, 오른손은 날밑으로부터 조금 내려, 위로부터
잡는다. 양손과도 세끼 손가락, 약손가락으로 잡아 중지,
집게 손가락, 엄지는 힘을 빼(엄지는 밑으로 향하도록) 엄지와 집게 손가락의 갈림길에 죽도의 등줄의 연장선
이 오도록(듯이), 넌지시 잡는다.

 (4) 양 팔꿈치의 구부림

양 팔꿈치는 펴지 않고, 움츠리지 않고, 힘을 쓰지 않고 자연스럽게 구부림

 (5) 양 다리의 위치와 밟는 방법

양 다리의 발가락은 전방에 향해 좌우의 열림은 약 10센치, 전후의 열림은 오른쪽 다리의 뒤꿈치의 뒤의 선에
왼발의 발가락이 오도록 두며, 체중은 양 다리에 골고루 둔다.
왼발의 뒤꿈치는, 조금 띄워 오른발 뒤꿈치는 전부 붙이되 가볍게 유지한다. 양 무릎은, 신체가 자유롭게 어느
방향에도 옮길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유지한다.


6. 발놀림


발놀림이라는 것은, 신체의 이동이나 칠 때의 다리의 옮기는 방법으로, 보통걸음(보족), 밀어걷기(송족), 벌려
걷기(개족), 이어걷기(계족) 등이 있다. 보통걸음은 전후에 큰폭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밀어걷기는 여러
가지 방향으로 소폭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에, 벌려걷기는 몸을 받아 흘리면서 상대를 타돌 하거나 막거나
하는 경우, 이어걷기는 먼 틈부터 타돌 하는 경우에 이용한다.

1) 보통 걸음

평상의 보행과 같은 방법으로 앞 뒤로 움직인다. 다리를 많이 올리지 않게 올리지 않게, 스치면서 걷는다. 허리
를 중심으로 중심을 가능한 한 수평으로 이동 시킨다. 상체나 죽도를 동요 시키거나 자세를 무너뜨리거나 하지
않으면서 이동한다.

2) 밀어걷기

이동할 방향으로 가까운 편의 다리로부터 내디뎌, 다른 다리를 즉시 보내듯이 끌어당긴다. 보내는 편의 다리가
늦거나 남거나 하지 않게 빨리 붙인다. 뒤로 갈때, 뒷다리의 뒤꿈치가 마루에 끌리지 않게 않게 한다. 그 외는,
보통걸음에 준한다.

3) 벌려걷기 

오른쪽(왼쪽) 앞에 여는 경우는, 오른쪽(왼쪽) 발을 상대의 방향을 향하면서 오른쪽(왼쪽)으로 기울기 전에 내
어, 왼쪽(오른쪽) 발을 오른쪽(왼쪽) 발에 끌어 왼쪽(오른쪽) 허리를 왼쪽(오른쪽) 후방에 비틀어 상대의 방향
으로 올바르게 향한다. 오른쪽(왼쪽) 후방에 여는 경우도, 오른쪽(왼쪽) 앞에 여는 경우에 준한다. 나중에 옮기
는 다리를 올바른 위치에 끌어당긴다. 허리를 중심으로 중심을 이동 시킨다.

4) 이어걷기

왼발을 오른쪽 다리의 위치까지 끌어당기는 것이나, 즉시 오른쪽 다리로부터 밀어걷기의 요령으로 크게 발을 디디므로 있다. 왼발을 끌어당길 때는, 동작이 멈추기 쉽기 때문에, 상대에게 기회를 주지 않게 왼발을 끌어당기는 즉시 오른쪽 다리를 내디디도록 한다. 최초로 왼발을 끌어당기고 나서, 다음에 오른쪽 다리를 보낼 때까지의 동
작을 단숨에 하도록 한다.


7. 검도도구의 착탈 순서


 (1) 검도도구의 착용은 신속, 확실히 해, 연습(시합) 중에 벗겨지거나 하지 않게 정확하게 댄다.
 (2) 사용후는 청결, 정돈에 유의한다.
 (3) 착용은 갑상-동-호면-왼쪽 호완 -오른쪽 호완의 순서, 벗을 때는 이 반대로 한다.


8. 검도구를 입을 경우의 주의 사항


(1) 끈

사고 방지를 위해서도 확실히 풀기 쉽도록, 그러나 단단히 연결한다. 끝은 같은 길이로 가지런히 한다. (호면
끈의 길이는 매듭으로부터 약 40 cm로 결정되어 있다)

(2) 갑상

갑상의의 중앙부를 한가운데에, 갑상 띠를 하복부에 댄다. 끈을 뒤에서 교차해(도복 바지 판자조각(구두주걱
처럼 생긴 것의 아래), 허리뼈 위에서 중앙 대수의 아래에서 연결한다.

(3) 몸통

몸의 가운데에 올바르게 댄다.
충분히 올려, 긴 끈은 등으로 교차해, 가슴 위 유혁(고리)으로 연결한다. 너무 올리면 목이나 몸통, 옷단까지의
부분을 압박해, 동작이 둔해지고 가슴과 갑상의 사이가 비어 위험할 수 있다. 너무 내리면 목과 몸통, 옷단까지
의 부분이 뚫리므로 위험하다.(겨드랑이와 목부분이 위험)

(4) 호면

면수건으로 머리 부분을 싼다. 양손으로 면의 귀부위를 잡고 아랫부분에 턱을 집어 넣고 다음에 이마부위를 넣는다. 끈은 머리 뒷부분 약간 아래에서 교차해, 앞으로 돌려 턱의 위 교차해, 후방에 돌려 교차해, 또 전에 돌려
면금의 최상부에서 교차 시키고 후두부에서 연결하는, 그 끈의 길이는 대체로 40센치 이내에 갖춘다. (아마도
오사카 지방의 사람이 쓴 듯) 너무 위를 향해 장착하면(자), 호면이 벗겨지기 쉽고 위험하다.

(5) 호완

호완 팔뚝 부위를 잡고 착용한다. 주먹 부위를 잡고 착탈하면, 그 부분이 변형할 뿐아니라 파손되기 쉽다.


9. 검도구를 벗는 경우의 주의 사항


 (1) 검도구를 벗을 때, 묶은 끈은 반드시 풀어, 천천히 벗어 조용하게 일어나며 결코 함부로 취급 하지 않는다.
 (2) 호완은 오른쪽, 왼쪽과 순서에 있어, 주먹 부위를 양 무릎의 앞에 가지런히 해 둔다.
 (3) 면끈를 풀어, 끈을 고리를 지어 쥐고, 양손으로 호면의 양뺨에 맞추고 머리 부분으로부터 벗어, 호면의 안에 만한 끈을 넣어 양팔뚝의 사이에 면금의 중앙부가 오도록 둔다.
 (4) 수건을 벗어 땀을 닦아(호면의 안의 땀도 닦는다) 넓혀 호면 위에 둔다.
 (5) 동은 아래끈, 위 끈의 순서로 풀어, 뒤편을 앞으로 해 호완 앞에 세워 둔다.
 (6) 갑상은 끈을 풀어 벗은 뒤, 몸통의 앞부분 기대어 세워 놓아 둔다.



10. 기합


검도에서는, 기합도 기술의 하나라고 일컬어지고 있을만큼, 중요한 것이다. 기합은, 배의 바닥으로부터 크고 중
량감이 있는, 강력한 것이 아니면 안 된다. 목만으로 내는 약한 소리는, 오히려 상대에게 가볍게 보여져 역효과
가 된다. 그러나 쓸 데 없는 소리나, 야비한 기합은 내서는 안 된다. 기합의 효과는,

 (1) 의지가 집중되고, 건강을 늘리고, 기력을 기른다.
 (2) 상대에게 위력을 느끼게 한다.
 (3) 기검체가 일치한다.
 (4) 타돌을 하기 쉽고, 게다가 날카롭고 완만한 조절의 이점이 있다.



11. 연격


검도 능숙의 지름길은 연격을 충분히 연습하는 일이다. 또, 기초를 기르기에도 유효한 방법이다.

1. 연격의 방법

 (1) 제자리 연속 좌우 머리치기.
 (2) 전진 연속 좌우 머리치기.
 (3) 후퇴 연속 좌우 머리치기.
 (4) 정면 - 전진 연속 좌우 머리치기.
 (5) 정면 - 후퇴 연속 좌우 머리치기.
 (6) 정면 - 전진 연속 좌우 머리치기 - 후퇴 연속 좌우 머리치기 - 정면

2. 연격의 효과

 (1) 몸을 바로하고 신체를 유연하게 해, 팔다리 힘을 늘린다.
 (2) 신체를 강하게 해, 틈을 알아, 타돌을 정확하게 한다.
 (3) 양손의 힘을 같게 하고, 전후좌우 동작을 민첩하게 한다.

3. 연격의 주의 사항

 (1) 양어깨, 양팔을 부드럽게 해 힘을 뺀다.
 (2) 동작은 크고 정확하게 한다.
 (3) 왼손은 신체의 중심선으로부터 빗나가지 않게 한다.
 (4) 인근을 올바르게 한다.
 (5) 양어깨를 움직임과과 다리의 움직임을 일치 시킨다.



12. 담당 공격연습


담당 공격연습은, 자기보다 능숙한 상대에 대해서, 올바른 틈부터 기합을 담아 격렬하게 쳐 들어가며, 또 상대
에게 맞는 일을 일체 기억하지 않고, 체력, 기력이 따르는 한 가능한 기술을 많이 발휘하는 것이다.

기합을 크게, 원간부터 몸을 충분히 움직여, 올바른 자세로 확실한 타돌을 하기 시작하고(기본으로 습득한 기술) 목숨을 건다는 심정으로 쳐들어 가는 것이 필요하다.



13. 시선


「눈은 마음의 창」이나 「눈은 입처럼 말한다」처럼 옛부터 말해지고 있듯이, 마음의 움직임이 가장 잘 나타나는 것은 눈이다. 따라 시선을 처리하는 방법은, 마음의 움직임을
가장 잘 나타내는 상대의 눈을 보아 조금의 움직임도 간파하도록 유의한다. 상대의 일부만을 보고 있는 것이 아
니라, 신체 전체도 보도록 한다.
- 見과 觀의 차이



14. 간합


상대와 자신과의 거리를 간합이라고 한다. 검도에서는, 이 것을 세개로 나누고 있다.

(1) 일족 일도의 거리

한 걸음 발을 디디면 상대를 타돌 할 수 있어 한 걸음 물러서면 상대의 공격을 확실히 피할 수 있는 거리로, 검
도의 기본적인 간합이다.

(2) 원간

일족 일도의 거리보다 먼 간합을 말한다. 이 거리는, 상대가 한 걸음 발을 디뎌 타돌 해도, 유효한 타돌로는 되지 않는 안전한 간합으로, 시합이나, 상위의 사람에게 대해서는, 원간을 잡아, 상대의 틈을 봐, 한 걸음 단칼의 간합으로 진행되어 타돌한다.

(3) 근간

일족 일도의 간합보다 가까운 간합으로, 그대로 한 걸음 발을 디뎌 쳐도 되며, 타이밍을 놓치면 재빠르게 상대로부터 타돌 된다

위험한 간합이다.


15. 잔심


 (1) 잔심이라는 것은, 타돌 한 뒤의 「심신을 갖추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알기 쉽게 말하면, 방심을 하지 않는것이다.
 (2) 타돌 한 뒤방심하면(자), 자세가 어긋나거나 공격이 성공하지 않은 경우 곧 상대로부터 반격 되거나 또 계속 공격 할 수 없게 되므로, 어떠한 경우에서도 방심하지 않고, 언제라도 타돌 할 수 있는 마음가짐이 잔심이다.

-녹검의 검도이야기에서 퍼옴.
profile